*각종자료 · 정보방*/자료모음

성만찬 연구 - Ⅱ. 성만찬에 대한 성서 신학적 고찰 A. 성만찬의 성서적 근거 1. 성만찬의 성서적 중요성

호밀64 2012. 6. 26. 09:14

Ⅱ. 성만찬에 대한 성서 신학적 고찰


기독교의 예배에 있어서 성만찬은 초대 사도들로 시작된 기독교
예배 원형에 속한다. 즉 예수님이 세상에 계실 때는 제자들과 함께
예루살렘 성전예배와 유대인의 회당예배에 참예 하였었다.
1) 이장식, 예배와 성찬의식 , 기독교 사상 , 1979.12. p.64.

그런데 예수님이 제자들과 최후 만찬을 나누신 자리에서 자기의
십자가의 죽음을 떡과 포도주로서 상징적으로 예고하시고 새 언약 또
는 계약을 셰우셨다. 2) Ibid.
그리고 이 성찬식을 행하라고 부탁하셨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부탁과 명령을 살려서 사도들이 교회를 시작하여
예배하러 모였을 때마다 성만찬 예식을 거행하고 주님의 고난을 기억
하였다. 따라서 성만찬은 교회가 형성될 때부터 예배의 요소로써 말
씀 선포와 함께 예배 안에 존재하였었다. 그리고 말씀을 통하여 구원
을 확신한 그리스도인들이 항상 같이 떡을 떼면서 순수한 교제를 나눔
으로써 성만찬의 교훈과 의미를 회상하였고 기쁨과 찬미의 모임을 가
졌다(행 2:46,47). 성만찬은 하나님의 임재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
인 요소였고 3) 김동수, 예배학개론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67), p.184.
그리스도와의 일체를 경험하는 거룩한 의식이었다. 그
러므로 성만찬 의식을 뺀 기독교의 예배는 불완전한 것이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성만찬에 대한 성서와 신학적 고찰
을 하려고 한다.

A. 성만찬의 성서적 근거

1. 성만찬의 성서적 중요성

기독교 공예배는 말씀과 함께 드리는 성만찬 예전으로 그 절정을
이루었고 세례를 받고서 그리스도의 사람으로 인침을 받은 사람은 누
구나 이 성만찬 식탁에 의무적이면서도 특권적인 자격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4) 정장복, 예배학 개론 (서울:종로서적, 1986), P.180.
이 성만찬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공동체인 교회는 지금까지
들었던 하나님의 말씀을 눈으로 보고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하나님의
은총으로 다시 한번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 개신교의 상황을 관찰해 보면 성만찬의 본래의 보편
적이며 성서적인 의미가 많이 상실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많
은 교회가 이 성만찬을 기념의식 정도로 밖에 생각지 않고 있다.
5) 도널드 G. 블러쉬, 목회와 신학 , 오성춘, 최건호 역
(서울: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출판국, 1992), p.52.

성만찬은 언제나 교회의 거룩한 예배행위이며, 또한 그 생활의 한
부분이다. 예수께서 성만찬을 제정하신 이래 오늘에 이르도록 교회의
기나긴 역사 가운데 참된 신자들은 이 성례를 인간에게 주어진 하나님
의 은혜를 통한 최고 행위로 생각하였고, 자신들을 완전히 하나님께
드리는 인간의 응답으로 생각하였다.
6) Robert G. Rayburn, 예배학 , 김달생, 강귀봉 역 (서울:성광문화사, 1988), p.302.
그래서 초대교회로부터 성만찬이 예배의 중심이 되었으며 초대 기독교
공예배의 성서적 원형은 설교와 성만찬을 행하는 것이었다.
쿨만(Oscar Cullman)은 이러한 성만찬을 새 계약의 재 다짐 또
는 그리스도를 다시 뵙고 경험하는 예전
7) Oscar Cullman, Essays on the Lord's Supper (Richmond:John Knox Press, 1972), p.19.
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이와같은 성만찬의 중요성을 인식한 초대교회 신자들은 세례를 받은
즉시 성만찬에의 참여를 허락받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그들은 모두
한결같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아멘으로 화답하는 생활을 계속하였
다. 8) 정장복, op. cit., p.180.
초대교회의 성만찬은 깊은 감격과 생명력을 지닌 예전으로써
공예배에 핵심이 되었던 것이다. 이 당시의 예전의 주제는 십자가 위
에서 희생하시고, 부활하셔서 성만찬의 현장에 임재하신 예수 그리스
도였고, 이 예전에 참여하는 것은 곧 그리스도와의 만남이며 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보여주신 하나님의 은총과의 만남이라는 생동적 신
앙을 갖게한 것이다. 9) Ibid., p.181.
뿐만 아니라 이 현장에서 하나님 자신이 인간
에게 주시는 것을 받아들이며, 또한 그의 원하시는 대로 새롭게 소생
한 무리들은 그 자신을 하나님께 바치는 봉헌의 사건을 이 예전속에서
이루게 됨으로써 이 성례전을 가리켜 기독교 예배의 중심적 행위(the
central act)라고 말하게 되었던 것이다. 10) Ibid.

또한 성만찬은 하나님께서 현재의 삶에 개입할 수 있는 진정한 형
태와 기준, 그리고 원천은 하나님의 아들이 겪은 수난과 승리라는 것
을 우리에게 상기시켜 주기 때문에 성만찬은 예언의 말씀에 대한 이해
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성만찬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완전한 행
위로써, 그리스도의 약속에 따라서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가 된 모든
세례 받은 자들은 성만찬 가운데서 죄 사함을 보증받으며(마 26:28),
영원한 생명을 약속 받는다(요 6:51-58).
이상과 같이 예수께서 자신들의 존재와 삶의 근거를 발견한 새 사
람들을 위해 제정하신 11) J.J.Von Allmen, 주의 만찬 , 박근원 역 (서울:양서각, 1986),
p.29.
이 성만찬은 기독교 예배의 역사 속에 중심적
위치를 지켜왔다. 때때로 지나친 해석에 의하여 수난을 당하기도 하
였으나 기독교 예배 중심으로써 그 소중한 의미는 지금까지 흔들림이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개혁자들은 교회는 말씀과 성례전이 바르게
선포되고 집례되어지는 곳이라는 신앙을 갖게 되었으며, 그것이 신앙
적 전통으로 우리에게도 전수되어 왔다.
그러나 오늘의 한국교회가 매주일 드리는 예배 가운데서 성례전이
차지하는 위치를 살펴볼 때 과연 우리는 초대교회가 추구하고 경험했
던 그 감격을 소유하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하겠다. 교회에서
행해지고 있는 성만찬의 예전은 나를 기념하라 는 언어적인 뜻 이상
의 신학적인 의미 부여에 무관심한 것을 느낄 수 있으며, 더우기 현장
에서 성례전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그리고 예배에서 차지하는 비중
이 어느 정도인지 조차 알 수 없는 지극히 형식적 순서로써 끝마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12) 정장복, op. cit., pp.181-182.
바로 여기에서 오늘의 한국 개신교회 집례
자와 참여자 모두가 성례전에 대한 신학적 의미의 발굴을 서둘러야 할
필요성을 갖게하는 것이다. 13) ibid., p.182.
교회는 단순히 말씀만 듣고 살아가는
공동체로 끝나지 않고 주님이 제정하신 성례전 가운데서 경험하고 깨
달은 신앙으로 예수님과 연결된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 14) Ibid.
따라서 말씀과 성례전이 이상적으로 살아 집례되어지는 교회로서의 바른
출발을 위해 성만찬을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