③ 이교문화적 요소를 벗어나지 못한 공예배
한국 민족은 중국과 일본 두 나라 사이에 끼어, 국제 파동이 있을
때마다 거기에 휩쓸리게 되었고 이 땅위에서 잘 살아 보려는 생각보다
내세를 동경하며 그 심정을 종교적인데 두고 살았다. ) 기독교사상
강좌 편찬 위원회, 기독교사상 강좌 , 제 3 집(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63)
, pp.181-182.
그리하여 우리 민족의 심성은 그 바탕에 기본적으로 강한 종교성이 깔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종교적 심성 위에 세워진 한국의 전통 문화는
기독교적인 입장에서 볼 때에 철저히 이교적 문화를 형성하였다.
4300년의 샤머니즘, 2000년의 불교, 1500년의 유교라고 하는 오랜 역
사를 가진 이교적 신앙 풍토속에서 살아 온 한국인의 의식 속에는 이
교적 요소가 깊이 뿌리 박혀 있다. ) 정용섭, 교회갱신의 신학 , p.35.

이와같이 한국은 마치 세계 종교의 실험실과도 같다 ) 유동식,
한국종교와 기독교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77),p.13.
고 할만큼 한국의 종교는 다양한 것이 사실이다. 한국의 선사시대는 원시종
교인 샤머니즘의 독무대였으며, 신라와 고구려 시대에는 불교가 주종
을 이루었고, 이조시대에 오면서는 유교가 민족을 지배하였다. 그러
나 이조가 멸망하면서 오늘날 한국의 지배적 종교로는 기독교가 새로
이 등장하고 있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즉 한민족의 정신세계 속
에 샤머니즘이나 불교, 유교들이 한차례 거쳐간 이후에 기독교가 전래
되었기 때문에 기독교의 복음은 자연히 그들의 종교심성에 영향을 받
지 않을 수 없었다.
유동식 교수는 그의 저서에서 한국민족의 사상에는 다양한 사회 문
화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관해 오고 있는 기초이념 즉 사상적 전통
성이 흐르고 있는데, 이 기초사상이 한국에 들어온 각종종교 - 유교,
불교, 기독교 - 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한민족의 기초사상을 유동식 교수는 한․
멋․삶 이라는 세 요소로 말하고 있다. 곧 한 멋진 삶 은 옛부터 우
리 한민족이 몸에 지니고 살았던 이념이요, 삶의 목표였다고 한다.
) 유동식, 한국 신학의 광맥 (서울:전망사, 1982), p.20.

그러므로 기독교가 들어오기전 한국사상이란 한국의 기초사상과 외래
종교인 유교나 불교를 매개로 전개된 사상체계라고 말할 수 있다.
) Ibid., p.14.

결국 이러한 사상들이 한국인의 종교 심성에 크게 영향을 끼치면
서 기독교가 들어왔고, 기독교로 개종한 후에도 여전히 그것을 탈피하
지 못하므로 기독교 신앙생활에 커다란 이질적 요소로 나타나는 것이
다.

a) 샤머니즘(Shamanism)의 영향
먼저 샤머니즘의 영향부터 살펴 보기로 한다. 샤머니즘이 기독교
에 대해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을 여러면에서 살펴볼 수가 있
으나 예배에 끼친 그 대표적인 것은 기복신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교 풍토속에 들어온 한국의 기독교는 성경이 가르치는 복 을 현세적
인 복, 동양적인 오복(五福)으로 받아 들였다. 제의나 영에 대한 중
재를 일체 무당에게 일임하고 그 옆에서 구경만 해 온 샤머니즘적인
신앙생태는 그대로 한국 기독교 안에 흡수되어 일체의 예배의식과 기
도를 목사에게 일임하고 그 옆에서 구경만 하고 앉아있는 것으로 나타
난다.
또한 무교는 자신과 신령과의 수직적 관계만 있을 뿐 횡적, 사회
적 관계에 관심이 적어 개인의 이기에만 집착한다. ) 김기현, 한국교회의
예배와 생활 (서울:양서각, 1984), p.66.
그 결과 신앙공동체 형성의식이 결여를 보이고 있고, 무교의 비합리적 주술과
가무의 위력을 강조한 것에 영향을 입어 기독교에 권위주의적 심성이 조장되
었다. ) 문상희, 종교란 무엇인가 (왜관:분도출판사, 1982), p.182.
또 샤머니즘의 특색은 엑스타시(ecstasy) 현상에 있다. ) 민병소, 한국 기독교와
샤머니즘의 이해 , 풀빛 목회 1982.3, p.30.

이것이 기독교의 신비주의 속에 나타나 입신, 방언, 기적의 체험이 있
어야 은혜받은 것으로 간주하는 폐단을 낳았다.
이렇게 한국 기독교 예배는 우리가 하나님께 예배하러 왔사오니
만복근원 하나님 우리에게 복을 내려 주옵소서 라는 공공연한 기도 속
에 현세적인 제재기복의 사상이 맡바닥에 깔려 있어 공예배는 물론 가
정 심방 기도에서 더욱 잘 드러난다. ) 정용섭, 교회갱신의 신학 , p.224.
이것은 샤머니즘의 바탕에 우리 한국 기독교 예배가 정착한 것임을 말하여 주고 있다.

b) 불교문화의 영향
불교가 개신교 예배에 끼친 영향이라고 하면 부정적이고 도피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의 기본교리는 고(苦), 무상(無常), 무아
(無我), 극기(克己)등이다. 이는 부정적인 현실관과 현실 도피적인
생태를 낳았다. 이런 풍토속에 들어와 허무주의와 현실 도피적인데서
구원해 내야할 기독교가 오히려 기독교적인 허무주의와 내세주의적인
신앙생태를 만들어 온 것은 커다란 아이러니였다. ) Ibid., p.249.

이 영향으로 기독교에 체념사상이 스며들어 있고, 불교가 세상과
사회보다 개인을 중시하므로 사회에 무관심한 은둔적 기독교 사상을
조장하였다. 또한 한국의 종교 혼합주의는 불교속에 일관하여 온 하
나의 특성이므로 이에 영향받아 한국교회 성도들이 기독교를 신봉하면
서도 미신적인 생각을 버리지 못하고 생활하는 것이다. ) 김기현, op. cit., p.79.
또한 불교의 자기 소업(所業)에 따라 받아지는 인과응보의 사상이 한국교회 속
에 깊이 침투되어 있음을 설교의 경향에서 볼 수 있다. ) 이장식, 한국교회의
어제와 오늘 (서울:대한기독교서회,1965), p.87.
그래서 신자들이 죄에 대한 자유와 해방의 기쁨으로 신앙생활을 하기보다는 죄
에 대한 인과응보의 강박관념 속에 사로 잡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것은 이런 이교적 생리가 한국 민족의 심성에 흐르고 있는 연유도 있
지만 한국 기독교 자체에도 원인이 있었다. 즉 가톨릭이나 프로테스
탄트가 다같이 참 하나님을 가르쳐 주지 못했고, 그리스도적 신관도
구원관도 확립되어 있지 않은 한국교회는 예수믿고 천당갑시다 라는
전도표어와 부흥회 교과서로서 오래동안 사용되어 온 천로역정 이 이
런 신앙생태에 부채질을 해왔다. ) 정용섭, 교회갱신의 신학 , p.249.
예배 때 부르는 찬송도 때로는 타
계주의 적인 찬송가나 이른 바 부흥성가의 노래로 채워지기도 한다.
게다가 교인들은 장송곡을 부르듯이 구슬프고 느리게 부른다.
) 한완상, 무엇을 위한 예배인가 , 기독교사상 1972.2,p.20.
이렇게 불교적인 영향이 한국 개신교의 예배에 깊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c) 유교문화의 영향
유교의 특색은 주종관계의 계급질서와 삼강오륜(三綱五倫)의 사상
이다. 이러한 사상은 자연 권위주의적인 사상을 낳게 되었다.
) 김재준, 한국 재래종교와 그리스도 , 기독교사상강좌 ,제 3 집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63), p.138.
또 하나는 배타주의적인 당파성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유학(儒學)은
성리학(性理學)에서 크게 발전을 본 듯 하였으나 그것이 당쟁과 결부
되자 이(理)니 기(氣)니 하는 것은 당쟁과 사리를 위한 공론으로 떨어
지고 말았다. 여기에서 유교는 편협하고 고루한 정신만을 기르게 되
었으며 나 아닌 다른 사람의 설이면 그 자체의 가치야 어떻든 간에
그것을 모두 이단 사설이라 하여 배격하기에 급급했다.
) 유동식, 한국종교와 기독교 , p.86.

또한 한국 유교는 그 중추를 이루었던 주자학(朱子學)이 그 성리
학으로 말미암아 한국인에게 무신론적인 기반을 형성했다는 사실을 간
과할 수 없다. 아직도 한국교회에 그리스도교 신관(神觀)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하나님의 존재를 진지하게 생각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그
리고 교회예배의 기도마저 아버지되시는 하나님과의 대화라기 보다는
막연하고 추상적인 멀리있는 신에게 드리는 독백이나 시처럼 수사적이
고 서정적인 것도 하나님의 존재를 진지하게 생각할리가 없는 ) Ibid., p.93.
성리학으로 꽃을 피운 한국 유교의 뿌리 깊은 생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
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교의 영향을 받은 한국 교인들은 한식이나 추
석이 주일이 되어보라. 보수적이라고 자처하는 교회나 열광적인 신앙
을 특징으로 하는 교회에서도 낮예배 시간에는 빈 자리가 생긴다. 조
상들의 무덤을 찾아가기 때문이다.
윤성범박사는 기독교와 한국사상 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한
국교회는 앞으로 그리스도교회로서의 본연의 전통과 권위를 다시 찾아
야만 되겠다. 우리는 여전히 유교의 전통주의에 사로 잡혀서 그리스
도의 자유를 소유하고 있지 못한 감이 나타나곤 한다 ) 윤성범,
기독교와 한국사상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64),p.239. 라고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교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는 주종관
계의 권위의식과 삼강오륜의 체면주의와 이(理)와 기(氣)의 당쟁과 사
리로 당파성과 공리주의와 성리학의 무신론 등의 영향이 공예배에 깊
이 뿌리 박고 있는 것이다. ) 정용섭, 교회갱신의 신학 , p.250.
이리하여 예배에도 체면때문에 참여하
는 수가 많고 자기와 맞지 않으면 함께 예배하면서도 마음은 서로 나
누어져 있기도 한다. 이 모든 이교적 요인을 하루 속히 갱신해야 한
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