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연의 향기

 

한번 맺은 인연은 소중한 그대의 행복입니다.

 

춘추전국시대 초나라의 장왕이 전

쟁에서 돌아온 장수들을 위해 잔치를 벌였습니다.

밤 늦도록 연회를 즐기고 있는데 갑자기 광풍이 불어와

촛불이 전부 꺼지고 말았습니다.

 

칠흑같은 어둠 속에서 갑자기 왕이

총애하던 여인의 비명소리가 들렸습니다.

 

 

"전하, 지금 어둠을 틈타 누군가가 저를 희롱하였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제가

그자의 갓 끈을 뜯어 손에 쥐고 있사오니

 어서 불을 밝혀 범인을 잡아주시옵소서"

 

그러나 장왕은 촛불을 켜지 못하도록 명령을 내렸습니다.

 

"지금 이 자리에 있는 이는 모두 갓 끈을

끊은 뒤에야 촛불이 켜졌고,

결국 여인을 희롱한 범인을

찾아낼 수 없었습니다.

 

3년 후 초나라는 진나라와 전쟁을 벌였는데

전황이 매우 불리했습니다.

그 순간 누군가가 죽음을 무릎쓰고

군대를 이끌고 적진 깊숙이 들어가

삽시간에 전세를 뒤집었습니다.

 

전투를 마치고 장왕은 그 장수를 찾았습니다.

장왕이 장수를 치하 하자 장수는

왕 앞에 엎드려 고백했습니다.

 

"사실 저는 몇 년 전 연회장에서

 여인을 희롱했던 장수입니다.

제가 엄한 벌을 받아야 했던 상황에서

 폐하의 넓고 크신 아량으로

 목숨을 건졌기에 언젠가는 이 한 목숨을 바쳐

폐하를 위해 싸울 것이라 다짐했습니다.

 

원수를 갚는 것은 적을 이기는 것이지만

용서하는 일은 친구를 얻는 것입니다.

완벽한 선인도 없고 완벽한 악인도 없습니다.

장왕과 같은 아량과 여유로운 관용이 때로는

위대한 구성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대적 감각과 리더쉽은

풍성한 인간관계를 통하여 만들어집니다.

능력보다 나를 더욱 빛내 줄

위대한 힘이 되어줄 것입니다.

사람이 당신의 큰 재산이 되고

선물이 될 것입니다.

 

-세상의 모든 명언님-

 

물과 당신의 심장


좋은 소식이니....꼭 읽으셔야 하실 글입니다.
 

잠자리에 들기전에 물을 마시면 밤에 깨어나야하기 때문에

자기전에 물 마시고 싶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들 얼마나 많이 알고 계신지요!!

 

심장마비와 물 - 이런 것을 전에는  영 몰랐었네요!
흥미있네요....

 

제가 몰랐던 사실...
제가 의사에게 왜 사람들은 밤에 그 처럼 자주 오줌을 누어야 하는가를 물었습니다.

저의  심장병전문 의사의 답입니다. -

중력이 당신이 서있을 때는 (다리가 붇지요) 물이 당신의 몸 아래에로 끌어 당겨 있게 해놓습니다.

당신이 누워있어 하반신이 (다리등등이) 콩팥(신장)과 수평이 되게 되면,

그때에 콩팥이 물을 제거하기 쉽기 때문에 그 일을 한답니다.

 

그러므로 아래 내용은 방금 위에서 언급한 내용과 연관됩니다.

저는 당신이 몸에서 독소들을 세척하는데(씻어내는데) 최소한의 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나

이것은 제게 새로운 정보였습니다

 

물을 마시는 시간으로 적절한 시간들....

 

아주 중요한 정보.  심장병전문의가 준 것입니다!

물 마시는 시간을 제대로 잡으면 물이 몸에 주는 효능을 최대한 살릴수가 있다:

일어나자 마자 2 잔의 물 - 몸 체내의 기관들이 깨어나게 하는 데 도움준다.

 

식사하기 30분 전에 1잔의 물 -  소화를 촉진 시켜준다.

목욕하기전에 1잔의 물 - 혈압을 내려 준다.

잠자리에 들기전에 1잔의 물 -  뇌졸증이나 심장마비를 방지한다.


제가 덧붙인다면 ... 제 의사가 알려주는데 잠자리에 들기 전의 물은 자는 중에 오는

다리 경련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답니다.

당신의 다리 근육이 수화 (물)를 필요로 하기에 경련을 일르켜 당신을 깨우는 것입니다.


심장병전문의가 일러준 말입니다.

이 이메일 받은 사람들마다 10사람에게 이 이메일을 보내신다면

아마도 한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요!

 


 

저는 벌써 이 정보를 나누었습니다. 당신은 어쩌실 건가요?

이 메세지 전하세요. 사람을 살릴 수 있습니다.!

"생명은 한번만의 선물입니다."

 - 펌 -

 

 

 

 

가져온 곳 : 
블로그 >LOVE
|
글쓴이 : 강수경| 원글보기

민들레의 효능

 

 

염증과 종기에 좋은 민들레가 명한 약초

위염을 다스리고 암세포 죽이고 간은 보호
옛날 어떤 사람이 말을 타고 험한 산길을 가다가 말과 함께 높은 절벽에서 굴러 떨어졌다. 기절해 있다가 한참 뒤에 깨어나 보니 다행히 많이 다치지는 않았다. 말은 틀림없이 죽었으려니 하고 주위를 둘러보았더니 죽기는커녕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태연하게 민들레 잎사귀를 뜯어먹고 있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 사람도 민들레가 다친 데에 좋은 줄 알고 민들레 잎을 뜯어먹고 상처를 빨리 치료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일화는 동물에게는 스스로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본능이 있으며, 민들레가 옛날부터 중요한 약으로 쓰여 왔다는 단서를 준다. 민들레는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중국, 일본, 인도, 유럽, 아메리카의 인디언들까지도 중요한 약으로 썼다. 옛 의서를 대강 찾아봐도 민들레에 대한 기록이 적지 않을 만큼 여러 질병에 효과가 뛰어난 약초이다.


민들레는 맛이 조금 쓰고 달며 약성은 차다. 독이 없으며 간, 위에 들어간다. 열을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염증을 없애며,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젖을 잘 나오게 하며, 독을 풀고 피를 맑게 하는 등의 작용이 있다. 여성의 유방에 종기 멍울이 생겨 염증이 된 것과 종기가 나서 쑤시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종기를 치료하고 열로 인한 독을 풀어 주며 땀을 잘 나게 하고 변비를 치료한다. 또한 흰머리를 검게 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갖가지 눈병에도 효과가 있다. 각기, 수종, 천식, 기관지염, 임파선염, 늑막염, 위염, 간염, 담낭염에도 좋으며 식도가 좁아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 요로감염, 결핵, 소화불량에도 좋은 효험이 있다.

민들레는 갖가지 질병에 두루 효과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유방암, 유종의 고름을 없애는 힘이 매우 강하다. 또 산모의 젖을 잘 나오게 하는 데에도 효과가 크다. 민들레는 맛이 짜다. 그런 까닭에 병충해의 피해를 거의 받지 않고 생명력이 몹시 강하여 도시의 시멘트 벽틈에서도 잘 자란다. 맛이 짠 식물은 어느 것이나 뛰어난 약성을 지니고 있다. 민들레는 옛부터 동서양 어디에서나 먹을 거리나 민간약으로 널리 다양하게 써 왔다. 이른봄 풋풋한 어린 잎은 국거리로도 쓰고 나물로 무쳐서 먹는다. 쓴맛이 나는데 이 쓴맛이 위와 심장을 튼튼하게 하며 위염이나 위궤양도 치료한다.


뿌리는 가을이나 봄에 캐서 된장에 박아 두었다가 장아찌로도 먹고 김치를 담가서도 먹는다. 우엉과 함께 조려 먹어도 맛이 있고 기름에 튀겨 먹어도 일품이다. 민들레 꽃이나 뿌리는 술을 담근다. 꽃이나 뿌리에다 2∼2.5배의 소주를 부어서 20일쯤 두면 담황색으로 우러난다. 여기에 설탕이나 꿀을 넣고 한두 달 숙성시켰다가 조금씩 마시면 강정·강장제로 효과가 있다. 민들레를 유럽에서는 채소로 많이 먹는다. 프랑스 요리에 민들레 샐러드가 있다.


민들레를 밭에 가꾸어서 이른봄이나 가을에 뿌리를 캐내어 상자 같은 곳에 밀식한 다음 캄캄한 동굴 같은 곳에 두어 싹을 키운다. 우리나라에서 콩나물을 기르는 것과 비슷하다. 이렇게 해서 자란 하얀 싹을 날로 샐러드로 만들어 먹는데, 쓴맛이 거의 없고 향기가 좋아 인기다.


서양에서 민들레로 만드는 요리가 열 가지도 넘는데 이중에서 민들레 커피는 오래전부터 인기가 좋다. 민들레 뿌리를 말려 볶아서 가루를 내어 물에 타서 마시는 것인데, 맛과 빛깔은 물론 향기까지 커피와 비슷하여 민들레 커피라고 부른다. 커피처럼 자극적이지 않고, 카페인 같은 유해물질도 없으며, 습관성·중독성도 없을 뿐더러 영양이 풍부하고 몸에 매우 유익하므로 한번 널리 마셔 봄직하다.

민들레는 세계 도처에 2∼4백 종류가 있으나 국내에서 자라는 흰민들레가 가장 약성이 뛰어나다. 우리나라의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민들레는 서양에서 건너온 서양 민들레가 대부분이다. 서양 민들레보다는 토종 민들레, 흰 꽃이 피는 흰민들레가 제일 약효가 좋다.


민들레를 이용하는 방법을 몇 가지 소개한다.


위염, 위궤양 등의 위장병

민들레 생잎을 깨끗하게 씻어서 씹어 먹는다. 쓴맛이 나지만 습관이 되면 그런 대로 먹을 만하다. 뿌리째 캐서 그늘에 말렸다가 진하게 달여서 먹어도 좋다.


만성간염, 지방간 등의 간질환

민들레를 뿌리까지 캐서 그늘에서 말린 것 30-40그램에 물 1되(1.8리터)를 넣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하루 3-4번에 나누어 마신다. 황달이나 간경화증 환자가 치유된 보기가 더러 있다.

4-5월에 민들레 뿌리를 캐서 말렸다가 가루 내어 한번에 10-15그램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먹는다. 같은 양의 꿀과 섞어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고 더운물에 타서 먹어도 된다.


천식, 기침

민들레를 생즙을 내어 한번에 한 잔씩 하루 세 번 마신다.


산모의 젖이 잘 안 나올 때

민들레 뿌리를 물로 진하게 달여서 마시거나 생잎을 무쳐 먹는다.


신경통

민들레의 꽃, 잎, 줄기, 뿌리를 달여서 차처럼 수시로 마신다.

(글/ 한국토종약초연구소 회장 최진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 사전>에서는 민들레 즉 포공영(蒲公英)에 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민들레, 지정(地丁),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민들레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들판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봄부터 여름 사이 꽃이 필 때 전초를 뿌리채로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차다. 비경, 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몰린 기를 흩어지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소염작용, 건위작용, 이담작용, 이뇨작용, 면역부활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유선염, 연주창, 악창, 옹종 등에 쓴다. 편도염, 간염, 담낭염, 위염, 급성기관지염 등에도 쓸 수 있다. 하루 8~16그램, 신선한 것은 20~60그램을 탕약으로 먹거나 산제로 먹는다. 신선한 것을 짓찧어 즙을 내어 먹기도 한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인다."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민들레를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포
공초(蒲公草, 민들레),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부인의 유옹(乳癰)과 유종(乳腫)을 낫게 한다. 곳곳에서 나는데 잎은 거의 고거와 비슷하다. 음력 3-4월에 국화 비슷한 누른 꽃이 핀다. 줄기와 잎을 끊으면 흰 진이 나오는데 사람들이 이것을 모두 먹는다. 민간에서는 포공영(蒲公英)이라고 한다[본초]. 열독을 풀고[化] 악창을 삭히며 멍울을 헤치고[散] 식독을 풀며[解] 체기를 없애는 데 아주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양명경과 태음경에 들어간다[입문]. 일명 지정(地丁)이라고도 한다. 정종(쏅腫)을 낫게 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다[입문]."

중국에서 펴낸 <본초도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포공영(蒲公英), 기원은 국화과(菊花科: Compositae)식물인 포공영(蒲公英)(Taraxacum mongolium Hand.-Mazz)의 뿌리가 있는 전초(全草). 형태는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10-25cm이며, 전주(全株)에는 백색의 즙이 있다. 뿌리는 수직이다. 잎은 연좌상(連坐狀)으로 편평하게 펼쳐져 있고 구원상(矩圓狀) 도피침형(倒披針形) 또는 도피침형(倒披針形)이며 우상(羽狀)으로 깊게 갈라지고, 측편의 열편은 4-5쌍이고, 윗쪽 끝의 열편은 비교적 크거나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봉오리는 여러개로 상부에는 백색의 실모양 털이 나고, 총포(總苞)는 녹색으로 외층의 포편(苞片)은 난상 피침형(卵狀 披針形) 내지 피침형(披針形)이며 가장자리는 막질(膜質)이고 백색의 긴 유모(柔毛)가 나고, 내층은 선상 피침형(線狀 披針形)으로 외층보다 1.5-2배 길며 정단(頂端)에는 소각(小角)이 있고, 설상화(舌狀花)는 황색이다. 수과(瘦果)는 갈색이며 상반부에는 뾰족한 작은 혹이 있고, 관모(冠毛)는 백색이다.

분포는 밭과들 길옆에서 자란다. 채취 및 제법은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진흙과 모래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은 taraxasterol, choline, inulin, pectin이 들어 있다. 기운과 맛은 쓰고, 달며, 차다. 효능은 청열해독(淸熱解毒), 이뇨산결(利尿散結)의 작용을 한다. 주된 치료는 급성유선염(急性乳腺炎), 임파선염(淋巴腺炎), 위염, 악창종독(惡瘡腫毒), 급성결막염(急性結膜炎), 감모발열(感冒發熱), 요로감염(尿路感染)을 치료한다. 사용량은 하루 15~5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약으로 이용시는 적당한 양을 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민들레의 어린 잎은 입맛을 돋우어 주는 나물로 무치거나 요리에 쓰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깨소금무침, 튀김, 데침, 찜 등으로 조리해 먹으며 프랑스에서는 샐러드의 재료로 쓴다. 특히 봄철에 막 돋아난 민들레의 여린 잎을 잘 씻은 뒤 프라이팬에 참기름을 두르고 살짝 볶아 간을 약간 하여 먹으면 웬만한 빈혈은 해소할 수 있으며 강력한 정력제의 구실을 하여 스태미너를 보강할 수도 있다.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한 민들레는 통째로 말린 다음 약재로 쓰는데 이것을 포공영, 금장초, 지장이라 하여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피를 맑게 하는 약재로 쓰고 있다. 민들레에 들어 있는 리놀산이 정혈작용을 돕기 때문이다.

민들레에 들어 있는 콜린은 간장에 지방이 쌓이지 않도록 막아 주고 담즙 분비를 촉진하여 간경화와 여러 간질환을 막아 주는 작용을 한다. 〈약용식물사전〉에도 ‘민들레는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소변을 원활하게 하며 소화불량, 변비, 간장병, 황달, 천식, 자궁병, 식중독 등에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천금방〉에는 ‘독충에 물렸을 때 민들레를 짓이겨 낸 즙을 바르면 독이 풀린다’고 기록되어 있다. 민들레는 강력한 소염 작용과 소종 작용이 있어 각종 화농성 질환과 종양에 치료제로 사용한다. 젖몰살이 있을 때는 민들레만 끓여 먹어도 효과를 볼 수 있고 증상이 심할때는 민들레와 금은화를 30내지 40그램씩 끓여 마시거사 상추씨를 간 다음 민들레를 끓인 물로 복용하면 신기할 정도로 빨리 낫는다. 민들레의 줄기나 땅속 뿌리를 자르면 젖 같은 하얀 즙이 나오는데 이런 모양새처럼 젖이 잘 돌도록 촉진하는 작용도 한다.
민들레는 위와 장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을 하므로 신경성 구토, 소화불량, 식욕부진, 설사, 변비 등에 약으로 쓴다. 익히지 않고 생즙을 내서 마시거나 가루를 빻아 먹어도 좋고, 끓인 다음 즙을 마셔도 된다.

가져온 곳 : 
카페 >시는노래가되어
|
글쓴이 : 금이| 원글보기

     영어 명언 3.  
    
    
    035.Man with all his noble qualities...with his godlike intellect 
      which has penetrated into the movements and constitution 
      of the solar system...still bears in his bodily frame the indelible 
      stamp of his lowly origin.
      인간은 고상한 품격을 갖고 신과 같은 지성으로 태양계의 움직임과 구성을 
      간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몸 속에는 아직도 지울 수 없는 미천한 
      근본의 흔적을 지니고 있다.
      ☞Charles Darwin(찰스 다윈)[영국의 박물학자, 1809-1882] 
    036.You can learn a little from victory; 
      you can learn everything from defeat.
      승리하면 조금 배울 수 있고 패배하면 모든 것을 배울 수 있다.
      ☞Christy Mathewson(크리스티 매튜슨)[미국 야구스타, 1880-1925] 
    037.In the country of the blind, the one-eyed man is king.
      맹인들의 나라에서는 애꾸가 왕이다.
      ☞Desiderius Erasmus(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네덜란드 인문주의자, 1466-1536] 
    038.Old soldiers never die; They just fade away.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
      ☞Douglas MacArthur(더글라스 맥아더) 
    039.If you want to be happy for a year, plant a garden; 
         if you wnat to be happy for life, plant a tree.
      1년간의 행복을 위해서는 정원을 가꾸고, 평생의 행복을 원한다면 나무를 심어라.
      ☞English Proverb(영국 속담) 
    040.I was never less alone than when by myself.
      나는 혼자 있을 때 가장 외롭지 않았다.
      ☞Edward Gibbon(에드워드 기본)[영국 역사가, 1737-94] 
    041.The winds and waves are always on the side of the ablest navigators.
      바람과 파도는 항상 가장 유능한 항해자의 편에 선다.
      ☞Edward Gibbon(에드워드 기본)[영국 역사가, 1737-94] 
    042.Only the person who has faith in himself is able to be faithful to others.
      스스로를 신뢰하는 사람만이 다른 사람들에게 성실할 수 있다.
      ☞Erich Fromm(에릭 프롬)[미국 정신분석학자, 1900-1980] 
    043.There are two ways of spreading light: 
         to be the candle or the mirror that reflects it.
      빛을 퍼뜨릴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촛불이 되거나 또는 그것을 비추는 거울이 되는 것이다.
      ☞Edith Wharton(이디스 워튼)[미국 작가, 1862-1937] 
    044.We hold these truths to be self-evident, that all men and 
      women are created equal.
      우리는 모든 남자와 여자가 평등하게 태어났음을 자명한 진실로 생각한다.
      ☞Elizabeth Cady Stanton(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튼)[미국 혁명가, 1815-1902] 
    045.Two cheers for democracy: one because it admit variety and two 
      because it permits criticism. 
      Two cheers are quite enough: 
      There is no occasion to give three.
      민주주의를 찬양하는 두 가지 이유: 
      첫째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둘째는 비판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두 번의 찬양이면 매우 족하며 세 번의 찬양은 필요치 않다.
      ☞E.M. Foster(E.M. 포스터)[작가, 1879-1970] 
    046.Democracy is the recurrent suspicion that more than half of 
      the people are right more than half of the time.
      민주주의는 반수 이상의 사람들이 반수 이상의 경우에 옳다는 데 대해 
      반복되는 의혹이다.
      ☞E.B. White(E.B. 화이트)[미국 작가, 1899-1985] 
    047.Life improves slowly and goes wrong fast, and only catastrophe 
      is clearly visible.
      삶은 천천히 나아지고 빨리 나빠지며, 큰 재난만 분명히 눈에 보인다.
      ☞Edward Teller(에드워드 텔러)[물리학자, 1908-] 
    048.Since when was genius found respectable?
      언제부터 천재가 존경받았는가?
      ☞Elizabeth Barrett Browning(엘리자베스 바렛 브라우닝)[영국시인, 1806-1861] 
    049.My own art is a negation of society, an affirmation of 
      the individual, outside all rules and demands of society.
      내 예술은 사회의 부정, 즉 사회의 모든 규칙과 요구 바깥에 존재하는 개인의 확인이다.
      ☞Emile Zola(에밀 졸라)[佛작가, 1840-1902] 
    050.First you take a drink, then the drink takes a drink, 
      then the drink takes you.
      처음에는 네가 술을 마시고, 다음에는 술이 술을 마시고, 다음에는 술이 너를 마신다.
      ☞F. Scott Fitzgerald(F. 소코트 피츠제랄드)[미국 작가, 1896-1940] 
    051.Television is chewing gum for the eyes.
      텔레비전은 마치 츄잉검 같아 쉬지 않고 보게된다.
      ☞Frank Lloyd Wright(프랭크 로이드 라이트)[美건축가, 1869-1959] 
    				


가져온 곳 : 
블로그 >LOVE
|
글쓴이 : 강수경| 원글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