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성만찬의 성서적 의미
성만찬은 본질적으로 하나님께서 성령의 능력을 통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베풀어 주시는 은사의 성례전이다. 모든 기독교인들
은 그리스도의 살과 피에 참여함으로 이 구원의 은사를 받는다. 성만
찬에서, 즉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심 가운데서, 그리스도께서는 자기
자신과의 영적 교류를 베푸신다. 하나님께서는 스스로 행위하시사 그
리스도의 몸에 생명을 주시고 각 신도들을 새롭게 하신다.
32) 세계교회협의회 신앙과 직제위원회, op. cit., p.32.
그러므로 성만찬은 모든 예배자들에게 하나님의 은혜를 전달하는 방편으로
써, 사람이 그 주도적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이 우리를
찾아와 주시는 깊은 의미가 담긴 예전인 것이다. 33) 정장복, op. cit., p.156.
성만찬은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 제정하셨으며 이는 곧 사도적 전
통의 핵심이며 또한 사도적 전통의 본질을 규명해 주고 있다. 이는
결코 진정한 예배 에 앞서 예비적으로 거행되는 이따금 한번씩 하는
행사쯤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34) Thomas C. Oden, 목회 신학 ,
이기춘 역 (서울:한국신학연구소, 1986), p.182.
이런 점에서 성만찬의 성서적 의미를 알아 보도록 하겠다.
첫째로, 성만찬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기
념하는 뜻을 가지고 있다. 35) 김소영, 예배와 생활 (서울:대한기독교서회
, 1984), p.104. 예수께서 잡히시기 전날 밤에 제자들과
더불어 다락방에서 최후의 만찬을 배설하시고는 제자들에게 떡을 떼어
주시면서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다 고 말씀하셨고, 또 식후에
잔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제자들에게 주시면서 이것은 많은 사람을 위
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고 말씀하신 것을 보면 성
만찬은 예수의 살과 피 즉 죽음을 기념한다는 듯이 내포되어 있다.
그리고 바울도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고전 11:24)고 하였다.
이상의 말씀을 보아 성만찬은 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신 것
에 대한 가시적 의미를 나타내며 회상을 시키고 있다. 즉 그리스도의
구속의 은총에 대한 회상의 성만찬인 것이다. 36) Andrew W. Blackwood,
The Fine Art of Public Worship (New York:Abingdon Press, 1954), p.205.
둘째로, 성만찬은 단순히 하나의 기념만이 아니고 이것은 또한 그
리스도와의 현재적인 거룩한 영교(Holy Communion), 혹은 동참의 뜻을
가지고 있다. 37) 김소영, op. cit,. p.104.
바울은 고린도전서 10장 16절 에서 우리가 축복하는
축복의 잔은 그리스도의 피에 참여함이 아니냐 고 했다. 이 말씀에
근거해서 성만찬은 단순히 기념만이 아니고 그리스도의 몸과 피에 참
여하는 행위이며 영적으로 교제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은 이
영적 친교의 식사에 참여하는 자에게 평화를 주시고 영원한 생명을 주
신다. 38) 박은규, 예배의 재발견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8), p.214.
그러므로 떡과 포도주의 가시적인 요소를 통해 성만찬의 참
여자가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만나고, 접하고 있다는 것이다.
세째로, 성만찬은 소망의 선포라는 뜻이 있다. 39) 김소영, op. cit,. p.105.
성만찬을 통하여 우리는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한다 (고전 11:26)는 말씀과
같이 모든 참여자가 주님의 재림의 소망으로 참여한다는 뜻이다. 40) Ibid.
하나님의 전 백성이 앞으로 장차 오게 될 왕국에서 주님의 식탁에 둘
러 앉아 그리스도께서 주시는 떡과 잔을 받을 날이 오고 있다는 사실
을 고대하면서 소망으로 성만찬에 참여하는 것이다. 41) Ibid.
그러므로 성만찬은 이 소망을 밝게 하며 그 사실을 위하여 늘 새롭게
증거하는 사명을 가진 것이다.
이와같은 이런 의미를 갖고 있는 성만찬은 예배의 본질적인 요소
로써 처음부터 중요시 되어 왔다. 초대교회에서는 매주일의 예배 때
마다 행하여져, 주님의 명령을 따라 가졌던 성만찬 속에서 늘 새로운
신앙의 활력소를 찾았다는 점이다. 42) 정장복, op. cit,. p.43.
결국 성만찬은 신령한 영적인 은혜와 영적인 본체를 볼 수 있고,
만질 수 있고, 맛볼 수 있는 (시각,촉각,미각) 물질의 상징적 매개체
를 통하여 우리에게 나타나며 우리의 것이 되는 것을 말한다.
43) J.J.Von Allmen, 예배학원론 , 정용섭 외 3인 공역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 1980), p.68.
따라서 성찬예식은 말로써 하는 설교나 글로써 표현되는 설교의 내용을 우
리가 얻을 수 있게 해주며 이렇게 되기 위하여 우리의 지성과 정서가
함께 운동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성찬의식은 예수 그리스도의 성
육신과 생애와 죽음과 부활과 교훈의 총체적인 반응을 보이게 된다.
44) 백천기, 공예배 의식 갱신에 관한 연구 (예배학박사학위논
문, 미국훌러신학대학원, 1983), p.95.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사에 나타난 성만찬의 의미는 때에 따라
굴절되고 왜곡되어 때로는 성만찬에 대한 지나친 열심때문에, 때로는
그것에 대한 강한 반동 때문에 성만찬은 교회의 중심인 제자리를 잃고
있었다. 이것은 현대에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고통이며, 한국교회 역
시 하나의 커다란 짐으로써 이 문제를 안고 있다 하겠다. 이제 교회
의 공예배의 역사 속에서 성만찬에 대한 신학적 견해가 어떻게 나타나
있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각종자료 · 정보방* > 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만찬 연구 - Ⅱ. 성만찬에 대한 성서 신학적 고찰 B.성만찬에 대한 신학적 견해 2. 종교개혁자들의 견해 ① 루 터 (0) | 2012.06.26 |
---|---|
성만찬 연구 - Ⅱ. 성만찬에 대한 성서 신학적 고찰 B.성만찬에 대한 신학적 견해 1. 가톨릭의 견해 (0) | 2012.06.26 |
성만찬 연구 - Ⅱ. 성만찬에 대한 성서 신학적 고찰 A. 성만찬의 성서적 근거 2. 성만찬의 역사적 기원 (0) | 2012.06.26 |
성만찬 연구 - Ⅱ. 성만찬에 대한 성서 신학적 고찰 A. 성만찬의 성서적 근거 1. 성만찬의 성서적 중요성 (0) | 2012.06.26 |
성만찬 연구 - Ⅲ. 성만찬 예전의 실천 A. 성만찬의 현대교회의 견해 1. 감사의 예전으로서의 성만찬 (0) | 2012.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