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신자운동에 관하여

 

  "태신자"란 말은 "작정된 전도 대상자"라는 뜻으로 "제자를 삼아"(마28:19~20)라는 말씀 속에서 그 기원을 찾는다. 그리고 요한복음 3장에 나오는 예수님과 니고데모와의 대화에서 나타나듯이 다시 태어난다는 중생의 원리 개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는 마치 어머니가 10개월 동안 아기를 뱃속에 간직했다가 출산하는 기쁨을 맛보는 것과 같다. 한 사람의 성도가 구원을 목적으로 불신자 몇 사람을 작정하여 일정 기간(약 10개월 동안) 그 영혼을 품고 영적 출산 즉 결신에 이르게 하는 전도이다. 더 나아가 이 과정을 목회적 차원에서 진행할 태신자 전도운동이라 부른다. 그러면 태신자 전도운동의 기본 원리는 무엇인가?

  첫째, 태신자 전도운동은 방법과 기술을 중시하기에 앞서 "관계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오늘날처럼 조직화, 전문화, 개인화되어 가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전도자가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태신자가 될 사람과의 적절한 관계성을 설정, 확립하는 일이다. 이 관계성은 작정자와 태신자의 사이에서 복음이 들어가 태신자가 결신할 때까지 토양을 준비하는 작업이다. 여기에서 사회적, 개인적 이해를 필요로 한다.

  둘째, 태신자 전도운동은 일시적, 일회성 행사가 아니다.
대부분의 전도방법은 말 그대로 운동, 행사로서 일시적, 일과적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연중 연속적이고 지속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태신자 전도운동은 목회 그 자체로서 연중 지속된다. 태신자 전도운동은 목회자가 매일 새벽기도를 하듯이, 매주 설교를 준비하여 설교하듯이 지속적이다.

  셋째, 태신자 전도운동은 작정자인 전도자에 대한 집중적인 영적 영양 공급을 중요시한다.
태신자의 정의에서 언급했듯이 태아는 어머니의 탯줄을 통해서만 충분한 영양을 공급받으며 성장할 수 있다. 어머니는 태아에게 더 귀중한 존재이다. 태아보다 먼저 더 많은 영양을 공급받아야 한다. 대체로 우리가 간과하기 쉬운 것은 태신자에게만 관심을 치중하다가 산모인 작정자의 관리에 소홀하기 쉽상이라는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태신자 전도운동은 작정자의 영성 훈련에 온갖 심혈을 기울이다. 지속적이고 계획적인 교육, 기도, 접근, 점검, 위로, 격려하는 일들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교회의 영적 분위기, 영적 풍토가 작정자를 움직이며 그들을 통해 소중한 태신자를 얻게 된다.

  넷째, 태신자 전도운동은 목표를 향한 과정을 중시한다.
대부분의 교회가 전도 목표 수를 정해 놓고 그 숫자에 얽매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태신자 전도운동은 목표수는 갖되 숫자로부터 좀더 자유하면서 치밀한 계획과 그것을 추진해 나가는 과정을 더욱 중요시한다. 과정을 성실히 수행해 나갈 때 그 결과에 자연히 만족하게 되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태신자 운동의 장점으로는
첫째, 개인적이다. 작정자와 태신자 간의 관계성 속에서 철저한 일대일 전도 전략이다.
둘째, 밀착성과 섬세함, 치밀함이다. 셋째, 작정자 자신의 영성 개발이 이루어진다. 넷째. 인격성의 훈련이다. 태신자 한 영혼, 한 영혼을 향한 관계의 정상화와 발전을 위하여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할 인격성의 훈련이 이루어진다. 이는 상대를 고려하는 이타주의적 신앙 인격으로 변화되는 계기가 된다. 다섯째, 교회의 질적인 향상과 아울러 자연스럽게 양적인 부흥을 가져 오게 되는 양면적 충족이 이루이진다. 마지막으로 이 운동은 전략 수립, 작정 기간, 결신을 위한 총동원 주일, 관리 체제로 이루어진다.

  이 일련의 진행 과정 속에서 끊임없는 홍보, 교육, 기도, 봉사, 희생이 수반된다. 이 과정 속에서 적지 않은 태신자들이 조산하고 결신하기도 한다. 이처럼 태신자 전도운동은 희미해져가는 한국 교회에 성장의 고동소리를 힘차고 왕성하게 하는 운동으로서 한국 교회의 모판 역할이 되기에 충분하다.

 

10

1. 상대방의 어려운 점을 속히 파악하고 해결방법을 제시하며 사랑으로 접근하라.

    (마11:28, 시50:15)

2.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와 성령으로 전도의 실탄을 준비하라.

    (엡6:10-20, 히4:12)

3. 기도하는 경건의 자세를 잃지 말고 믿음으로 담대히 전도하라.

    (딛전 2:11-14)

4. 자신이 전도한 사람이 구원의 확신을 가질 때까지 잘 가르치고 인도하며 격려하라.

   (마28:19-20)

5. 전도의 낙태가 큰 죄인 줄로 알고 절대 중도에 포기하지 말라.

 

6. 가장 가까운 사람부터 접근하여 교제하면서 전도하라.

   (마4:17-25)

7. 사랑의 복음을 가지고 확신을 가지고 끈질기게,

   포기하지 말고 상대가 구원받도록 전도하라. (골 1:20-25)

8. 아낌없이 투자하며 전도하여 교회로 인도하여 넘치는 축복과 구원을 받게 하라.

   (고전 9:14-16, 요3:16)

9. 예수님께서 내려 주신 능력을 절대 신뢰하며 확신을 가지고 전도하라.

   (빌 4:13, 행1:8)

10. 구원 받은 은혜에 감사하며 즐거운 마음으로 전도하라. (시126:5-6)

 

가져온 곳 : 
카페 >『교/가/연』행복 연구원
|
글쓴이 : 바울| 원글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