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젊은이 중심의 주일 대예배를 통한 부흥에의 길
1.1. 배경
1.1.1. 어떤 교회들이 가능한가?
교회에 연결된 젊은이들이 많으나(교회의 역사와 전통이 있어 그 지역사회에 뿌리내린지 오래 되었고 어느 정도 교회 규모가 중형급인 경우) 청년대학부가 미약한 경우
1.1.2. 젊은이들이 교회의 이런 조치에 일단 환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젊은이들에 대한 목회적 배려라는 것에 공감하는 정서적 요인,
젊은이들의 시간 활용이 좀더 용이하다는 실리적인 요인,
같은 교회 젊은이들의 만남의 장이 된다는 관계적인 요인 등
1.1.3. 이런 변화를 시도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은?
담임 목사의 자신감

1.2. 성공요소
1.2.1. 청년타겟형 설교
1.2.2. 뜨거운 찬양
1.2.3. 열린예배적 분위기

1.3. 운영방법
1.3.1. 누가 설교? 어떻게 진행?
1.3.2. 대예배 이후의 청년대학부 모임과 프로그램은 누가? 무엇을? 어떻게? 어떤 조직을 갖고서?

1.4. 나타나는 현상
1.4.1. 우선 교회 내의 젊은이들의 예배 출석률이 높아진다.
1.4.2. 젊은이들 간의 교류와 활동이 좀 더 활발해진다.
1.4.3. 청년대학부 목회자나 찬양팀 등 지도력에 있어서는 이중부담이 될 수 있다.

1.5. 예상되는 문제점
1.5.1 운무 현상
1.5.2. 대예배만 참석하는 젊은이들과 청년대학부에도 참석하는 젊은이들과 이원화 현상이 나타난다.
1.5.3. 일시적 부양택일 수도 있다.
설교가 흡인력이 있지 못하거나 감동있는 예배가 못될 경우

1.6. 보완점
대예배 이후 젊은이들을 흡인할 수 있는 차별화된 영양가있는 내용이 있어야 한다. 특별히 소그룹 활동이 알차게 진행되어야 한다.

2. 청년대학부 예배 활성화를 통한 부흥에의 길
2.1. 청년 대학부 부흥을 위한 가장 고전적인 방식이자 출발점

2.2.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은?
설교자의 영성과 영력을 기초로하는 감동적인 설교이고 그 다음은 찬양팀이 끌어내는 영적 분위기와 행정팀이 자아내는 매력적인 분위기이다. (찬양팀 및 행정팀 등 예배에 영향을 끼치는 사람들은 철저히 예배 종사자로서의 훈련을 받아야 한다)

2.3. 주일인 경우 가장 큰 어려움은?
대예배 이후 또 예배를 드려야 하는가에 대한 젊은이들 또는 담임목사의 문제제기이다. " 청년들은 청년들의 예배가 필요하다"로 응수할 수밖에 없다.

2.4. 토요일인 경우엔?
위와 같은 문제가 없기는 하나 청년대학부의 정기 집회일로는 적합하지 않다.

2.5. 예배를 위한 '중보기도단'

2.6. 젊은이들을 위한 설교의 키포인트
2.6.1. 테마 설정---비전 삼각뿔, GBS교재 또는 시렌디피티 바이블 활용
2.6.2. 본문 설정---GBS교재 또는 시렌디피티 바이블 활용, 자신의 큐티노트
2.6.3. 본문 연구--귀납적성경연구(IBS) Cf.디모데 출판사의 '예수 마을'시리즈
2.6.4. 설교 기본--IMAGINATIVE, INSPIRATIONAL. EXPOSITORY
2.6.5. 설교 방향--C,A,R 과 2 F's(FULLNESS+FULFILMENT)
2.6.6. 설교 특징-FIRE+LOGIC+FUN
2.6.7. 설교 연계-QT 또는 GBS

2.7. 문제점
2.7.1. 예배 중독증
2.7.2. 운무현상
2.7.3. 섬김의 장의 부족
2.7.4. 후임 교역자도 설교를 잘할 것인가?

2.8. 보완점
소그룹 사역과 제자훈련

3. 감동적인 청년대학부 예배 플러스 강력한 이벤트를 통한 부흥에의 길
3.1. 이벤트가 필요한 이유
3.3.1. 공동체 전체가 공유할 필요가 있는 비전과 스피릿을 함양하고 함께 도전의 장을 갖는 것의 중요성
3.3.2. 공동체 잠재력의 총망라와 총집결의 필요성
3.3.3. '세몰이'하는 과정에서 갖게되는 기도의 능력 경험과 공동체의 응집력과 활성화
3.3.4. 말씀을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순종하고 실천하는 일의 필요성
웬디스 햄버거 창업주 데이브 토마스가 말하는 두 종류의 그리스도인:
셔츠 소매 단추를 잠그고 있는 그리스도인(Shirtsleeves christian)과
셔츠 소매 걷어 붙인 그리스도인(roll up your shirtsleeves christian)
3.3.5. 지도력과 은사 발굴 및 계발

3.2. 이벤트의 종류
3.2.1.영성 함양 및 훈련 목적--수련회, 사경회 등
청년대학부의 전형적인 수련회(강사 의존형)보다는 창의적, 대안적 수련회를 기획하라!
예) 기도 수련회, QT & PBS 수련회

3.2.2. 전도 목적- 교회 내에서 하는 전도 집회, 교회 밖에서 하는 전도모임이나 전도여행
3.2.3. 봉사 목적- 교회와 연결된 소외지역 소외된 자들을 위한 봉사모임이나 봉사여행
3.2.4. 선교목적- 외국이 근로자 선교나 단기선교여행 등

3.3. 이벤트로 '세몰이'할 때의 유의점.
3.3.1. 너무 잦은 것은 역효과와 후유증이 크다.
3.3.2. 사역적 위상 및 목적이 아주 분명해야 한다.
3.3.3. 철저한 준비와 홍보와 기도 등이 가능해야 한다.
3.3.4. 젊은이답게 튀는 요소가 필요하다.
3.3.5. 목회자의 밀착 지도와 지원이 필요하다.
3.3.6. 강단 사역을 통한 지원이 아주 중요하다.
3.3.7. 후속 조치가 다지는 차원에서 반드시 있어야 한다.
3.3.8. 산탄형이 아닌 집중형 또는 응축형 이벤트가 되어야 한다.
3.3.9. '남는 장사'가 되어야 한다!

3.4. 문제점과 보완점
3.4.1. 조부기의 청년부의 3대 구조로 볼 때 조 중심의 운영이 어려워 공동체가 안정적이지 못하다.
3.4.2. 공동체의 성장에 실속이 없을 수 있다. 거품현상.
3.4.3. 총동원체제가 갖는 문제점들(핵심 리더들의 소진과 고갈, 지나친 일 중심의 분위기, 제 2 상한적 사역의 간과 등)이 노출된다.
3.4.4. 이벤트 이후의 후속 조치에 더욱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한다.
예) RUSH READY
3.4.5. 소그룹 사역과 제자 훈련이 강력하게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가져온 곳 : 
카페 >김용식 목사(어린이 부흥회/교사세미나 강사)
|
글쓴이 : 날고파| 원글보기

+ Recent posts